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갑자기 목에 혹이 만져진다면? 갑상선암이 생기는 이유부터 증상과 치료 방법

by 리뷰메이트 2023. 12. 4.

갑상선암은 목 앞에 있는 튀어나온 작은 나비 모양의 기관으로 갑상선에서 갑상선호르몬이 분비되는 데 여기에 생긴 악성 종양입니다. 갑상선은  우리 몸에 다른 장기의 생명연장을 유지하고 체온을 조절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호르몬을 만드는 기관입니다.  갑상선에 암이 생기면 나타나는 증상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떤 검사를 통해 갑상선암을 진단하는지와 치료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갑상선
갑상선

내 몸이 보내는 갑상선 이상 신호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갑상선암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갑상선암의 발병률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방사선 노출,  과거 갑상선 질환 병력 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 원인들 중에서도 방사선 노출은 갑상선암의 위험인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데, 방사선의 용량이 많이 노출될수록 갑상선암의 발병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방사선에 노출된 나이가 어릴수록 노출 정도에 따라 발병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일부 갑상선암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갑상선암 발생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최근 보고에 따르면 비만도 갑상선암의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더불어 호르몬 요인이나 식이요인 등이 발병률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의 증상은 거의 대부분의 암이 그러하듯이 초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고 눈치를 채지 못해 발견이 늦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갑상선 연골이 있는 부위의 양쪽과 아래쪽에서 아프지 않지만 단단한 혹이 만져질 때, 단일 결절(혹) 일 때, 결절의 성장 속도가 빠를 때, 결절이 4cm 이상일 때, 호흡 곤란, 성대 마비, 쉰 목소리, 감기와 동반되지 않는 기침,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 등이 있을 때는 갑상선암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가끔 갑상선암을 진단받으신 분들이 무기력감이나 피곤함, 목에 통증이나 이물감을 호소하기는 경우가 많은 데 이것은 갑상선암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이런 증상 있으면 꼭 갑상선 검사 받아보세요

음식물 삼키기가 힘들거나, 크기가 커지거나, 쉰 목소리를 보이는 경우는 갑상선암의 가능성이 높고 대개는 많이 진행된 경우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을 크게 느끼지 못합니다.  가족 중에 갑상선암 병력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도 유전의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신체검진을 통해 결절의 위치, 크기, 딱딱한 정도 및 림프절전이 여부,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여부 등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갑상선 호르몬 수치 등을 확인하고 전신마취와 수술에 적합한 갑상선 기능 사태인지 확인해 봅니다.  초음파 검사는 최근 갑상선암 검진을 위해 가장 많이 시행하는 검사로서 갑상선 결절의 위치, 모양, 크기와 함께 경부 림프절 전이 여부 등을 관찰하게 됩니다.  갑상선암 진단의 가장 기본이 되고 가장 정확한 미세침흡인 세포검사는 가느다란 주사기로 갑상선 결절의 세포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세포의 형태를 관찰하게 됩니다.  흔히 CT검사라고 부르는 검사로,  갑상선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림프절 전이 여부, 갑상선암이 주위 조직으로 퍼진 정도 및 해부학적 이상 여부를 알아내는 데 도움을 주는 진단 검사입니다. 

갑상선 기능 이상 질환의  치료

갑상선암의 기본이 되는 치료는 갑상선 절제술이며 갑상선암의 크기, 종류, 주변조직 침윤, 결절(혹)의 숫자, 림프절 전이 여부에 따라서 전절제, 엽절제, 또는 림프절 절제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을 모두 제거하게 되면 갑상선 호르몬이 나오지 않으므로 갑상선호르몬을 보충하고 갑상선암의 재발을 낮추기 위하여 평생 갑상선 호르몬제를 복용해야 하며, 엽절제를 시행한 경우도 갑상선 호르몬제의 복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이후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서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 치료는 갑상선 세포에 선택적으로 흡수되는 방사선 요오드를 이용하여 수술 후 유안적으로 보이지 않고 남아있을 수 있는 잔여 갑상선 조직 및 갑상선암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추가적으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사선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전이성 갑상선암 또는 진행성 갑상선암은 경우 항암제를 사용하여 암의 진행을 억제하는 항암요법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대체로 갑상선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목소리 변화(성대신경 손상), 갑상선 저하증,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저칼슘혈증) 등이 있으며 수술의 합병증이 낮습니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 준비를 할 때 3~4주일간 갑상선호르몬을 복용하지 않아 일시적인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있을 수 있고, 미각의 변화, 목의 부종, 침분비장애, 침샘염 등이 일부 생길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에 의한 사망은 매우 드물지만 재발 및 전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평생 추적관찰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