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호르몬의 적신호: 뇌하수체 종양의 전조 증상과 수술, 방사선, 약물치료

by 리뷰메이트 2023. 11. 18.

뇌하수체는 전체 뇌의 가장 아래에 내려와 있는 부분입니다.  이 뇌하수체가 우리 몸에서 중요한 호르몬을 직접 만들기도 하고 때로는 이 호르몬의 분비를 다른 부분에서 만드는 호르몬의 양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다시 말해서 뇌하수체선종은 뇌하수체에서 생기는 양성종양을 의미합니다.  뇌하수체에서 어떤 호르몬들이 나오는지 알아보고 증상과 수술적 치료방법에 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뇌하수체
뇌하수체

 

뇌하수체에서 나오는 호르몬의 종류와  내 몸이 보내는 뇌하수체종양의 증상

뇌하수체에서 나오는 대표적인 호르몬으로는 성장기 청소년이 성인이 될 때까지 키를 크게 하는 성장호르몬입니다.  또한 여성들이 츨산을 하고 나서 모유를 수유할 때 모유가 나오게 하는 것도 뇌하수체에서 조절하는 유즙분비 호르몬이 있습니다.   또한 목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나오는 데 이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분비 양을 조절하는 것은 뇌하수체에서 나옵니다.  우리 몸의 여러 가지 대사를 조절하는 부신피질호르몬이 이 뇌하수체에서 나오며 소변을 볼 때 소변양을 조절하는 항이뇨호르몬도 나옵니다.  뇌하수체에서 생기는 종양은 이런 호르몬을 과다분비하는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과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지는 않지만  세포 덩어리가 많이 커져서 시신경을 누르는 경우인  호르몬 비분비성 뇌하수체선종으로 나누게 됩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시력저하와 시야장애, 그리고 복시(사물이 두 개로 보이는 증상)입니다.  그 이유는 해부학적으로 뇌하수체가 양쪽 시신경이 만나는 시신경교차 약 5mm 정도 아래에 있기 때문에 아래 뇌하수체에서 발생한 종양이 뇌의 위쪽으로 자라면서 시신경을 눌러서 시력이 떨어지거나 시야장애가 발생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종양이 옆쪽으로 성장하면서 그 옆에 있는 눈동자를 돌리는 신경들을 눌러서 복시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측두반맹이라고 옆이 잘 안 보이는 시야감소 증상이 흔하게 발생하며 눈으로 볼 수 있는 영역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기능성 뇌하수체 선종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 프로락틴 선종이라고 있는데 프로락틴 호르몬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생리가 불규칙하거나 무월경, 임신 중이나 출산 후가 아닌 경우에도 젖이 나오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런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가능합니다.  남성의 경우에는 발기부전, 성욕이 저하되는 증상으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소변의 양이 늘어 조절되지 않는 요붕증 증상이나 갑상선 기능저하 등 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다음으로는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성장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거인증이 되는 것이고 성장판이 닫히고 난 다음에 과다하게 분비되면 말단 비대증이 됩니다.  턱이나 얼굴, 이마, 광대 등이 튀어나오면서 반지나 신발이 안 맞게 되는 증상도 나타납니다.  다행히 종양의 수술적 절제나 호르몬 치료 두 가지를 병행해서 어느 정도 치료가 됩니다.   다음은 쿠싱병, 쿠싱증후군으로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수술적 절제가 원칙입니다.   

뇌안의 종양을 코로 수술한다고?  진단방법과 수술적 치료

뇌하수체 선종을 진단하는 방법은 뇌 MRI입니다.  많은 경우에 코를 통해서 수술하기 때문에 부비동 CT검사로 하게 됩니다.  뇌하수체 선종은 호르몬 문제가 흔하게 나타나므로 혈액을 통한 호르몬 검사가 필수입니다.  더불어 시약, 시력 등의 안과검사도 필요하며 코를 통해 수술하는 경우에는 후각검사도 병행합니다.  종양의 크기가 0.3cm~0.4cm로 작으면 6개월 또는 1년마다 경과관찰을 합니다.   뇌하수체 선종의 치료는 약물치료와 수술적 치료, 방사선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호르몬 비분비성 뇌하수체선종은 일반적으로 수술로 제거합니다.  경 접형동뇌수술로 내시경이나 수술 기구들을 콧구멍으로 삽입하여 뇌바닥에 접근하여 종양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그다음으로는 눈을 통해 시행하는 내시경 뇌수술이 있습니다. 이것은 눈꺼풀이나 겉눈썹을 절개하고 종양에 접근하여 수술하는 방법입니다.   최근에는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이 효과적일 수 있는 데 특히 재발을 했거나 수술을 2~3번 하기 어려운 환자들 혹은 심장문제가 있어 전신마취가 어려운 환자들에게 1차적으로 시도할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 종양을 포함한 뇌종양은 대부분이 특별한 예방법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조기에 진단하고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